대형폐기물 스티커의 발급방법과 가격을 알아볼께요
- IT 정보들
- 2015. 7. 29. 13:34
안녕하세요 소마입니다.
오늘은 이사를 할 때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정보를 가지고 왔습니다.
이사를 하거나 가구를 새로 바꿀 때에 쓸 수 있는 대형폐기물 처리방법입니다.
집안에 냉장고나 티비, 세탁기 등의 부피가 크고 가격이 비싼 가전제품들은 한번 구매를 하면 오래 쓰게 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제품을 신제품으로 바꾸게 되면 구제품의 처리에 문제가 발생합니다.왜냐하면, 이 구제품들의 부피가 제법 크기 때문에 옛제품을 버리는 단계에서 생각보다 많은 수고를 하게 됩니다.
이렇게 구제품들을 신제품으로 교체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인 그 처리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대형폐기물 스티커를 받자.
대형폐기물들의 수거를 위해서는 구청이나 동사무소에서 관련 스티커를 구해야 합니다.
대형폐기물 스티커를 구하는 방법은 2가지입니다.
각 동내의 인근 구청에 찾아가서 얻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는 담당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본 설명에서는 수원시청홈페이지를 활용했습니다.
스티커를 얻는 방법에는 처음에 언급했듯이 2가지의 방법이 있습니다.
1) 인터넷 신고
2) 방문 신고가 있습니다.
1. 인터넷 신고
인터넷 신고의 경우 각 구청의 홈페이지를 통해서 신청합니다. 그 후 전자결제를 진행해서 수수료를 낸 후에 납부 필증을 인쇄해주세요. 그런 후에 이 납부필증을 버릴 폐기물에 부착해서 바깥에 내놓으시면 됩니다.
그러면 해당관련 업체가 지정된 날짜에 납부필증이 부착된 폐기물을 수거해 갑니다.
2. 방문신고
판매소를 방문해서 구매를 하거나, 동사무소에 방문해서 신청을 합니다. 그리고 수수료를 현장에서 납부하고 납부 필증 스티커를 받아옵니다. 그런 후에 자신이 버릴 대형폐기물에 붙이후 지정된 위치에 버려주세요.
그러면 위와 똑같이 관련 업체가 지정된 날짜에 대형폐기물을 수거해 갑니다.
2. 인터넷으로
대형폐기물 스티커를 발급받아보자.
예를 들어 수원시청 홈페이지에 접속을 해주세요.
홈페이지 아래를 살펴보겠습니다.
홈페이지 하단에 [대형폐기물인터넷신고]라는 메뉴가 있습니다.
클릭을 해주세요.
그러면 위와 같은 또 다른 홈페이지에 접속하게 됩니다.
이 웹사이트를 통해서 폐기물 배출 신청을 해주시면 됩니다.
제가 밑줄 그은 [폐지물배출신청]이라는 메뉴를 클릭해주세요.
그러면 휴대전화를 이용한 본인인증 후에 대형폐기물의 인터넷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그럼 대형 폐기물이란 어떤 폐기물을 말하는지도 잠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텔레비전이나 냉장고 세탁기 등과 같은 가전 제품류를 말합니다.
2. 침대나 장롱, 책상, 응접세트 등 누가 봐도 부피가 큰 가구들을 뜻합니다.
3. 이불도 대형폐기물로 분류되며, 자전거나 피아노 등등 조금만 무게나간다고
생각되시는 대부분의 물건이 대형폐기물로 분류가 됩니다.
4. 더 쉽게 설명을 하면 종량제 봉투에 들어가기 힘든 쓰레기들을 모두 대형폐기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3. 대형폐기물 스티커의 가격 비교
아래에 명시된 가격들은 수원시의 기준가격입니다.
다른 지자체에 따라서 조금의 가격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략적인 가격은 큰 차이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 참고용으로만 봐주세요.
4. 대형폐기물 가구 수거 팁
대형 폐기물들이 너무 오래되거나 쓸 수가 없어서 버리는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대형폐기물로 분류해서 버려주시면 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가 아닌 단지 새로운 제품을 위해서 구제품을 교체하는 경우라면
구청을 이용해서 폐기하기 전에 중고가게상을 통해서 팔아보시는걸 추천해 드립니다.
그러면 자신에게 필요없는 물건들을 버리면서 돈을 주는게 아닌
돈을 받고 물건을 정리할 수도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 다르겠지만 손해볼건 없으니 한번 시도해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위의 질문은 가장 많이들 궁금해 하시는 질물이라서 가져왔습니다.
대형폐기물을 버릴때 언제 내놓느냐는 질문입니다.
지정된 수거 날짜의 전날 저녁에 내놓으시면 됩니다.
이상 대형폐기물과 관련해서 다른 궁금증이 많으시다면
관련 홈페이지로 이동해서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IT 정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롬 자동번역 간단 사용법을 알아보자 (0) | 2015.08.12 |
---|---|
MP3 WAV 변환기 쉽게 이용하자 (0) | 2015.08.09 |
컴퓨터 정리프로그램 사용해보자. (0) | 2015.08.07 |
일본 방송 실시간으로 시청하기 (2) | 2015.08.03 |
곰플레이어 다운로드하기 그리고 설치하기 (0) | 2015.07.31 |
그래픽카드 보는법 간단하게 해봐요. (0) | 2015.07.30 |
png jpg변환 쉽게 변환하기 (0) | 2015.07.28 |
이 글을 공유하기